해외 마케터라고 해서 팔로워를 하다보면 이런 친구들 많이 발견합니다. Faceless digital marketing 이라고 써놓은 것들인데요. 꼭 Faceless가 붙지 않더라도 본인 소개에 digital marketing 라고 표기해둡니다. 사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큰 의미는 없어요. 말 그대로 얼굴이 안나오는 크리에이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들은 콘텐츠를 만들고, 그것으로 팔로워를 모아서, 수익화를 달성하고, 여기에 본인들이 비결을 알려주겠다고 하며 디지털 이북, 또는 뉴스레터를 판매하는 구조가 대다수 입니다. 여기에 보통 가장 비싼 가격은 온라인 또는 전화, 이메일 등으로 1:1 코칭을 해준다고 합니다.
이들을 파악하는 건 어떻게 보면 쉬워요. 계정의 소개는 정말 하나같이 help 로 시작해서, 돈을 벌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하거든요. 처음엔 다단계랑 비슷한 건가 생각했다가, 생각해보면 우리나라도 쓰레드에서 종종 퇴사하고 퍼스널브랜딩 도전하며 콘텐츠 만들어내는 거 보면 비슷하게 강의를 파는 크리에이터의 일종이라고 봐야되나 싶기도 합니다.
이게 우리나라 버전에서는 전자책과 강의를 파는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전자책을 크몽, 클래스같은 플랫폼에서 판다면, 여기는 자신만의 구매 스토어를 만들어요. 호스팅을 별도로 사서 운영하는 애들도 있긴 하지만, stan.store 로 시작하거나, beacons.al 로 시작하는 사이트를 자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아니면 별도의 도메인을 사서 하는 경우도 있고요.
판매 예시
▼
워낙 요즘은 콘텐츠로 돈을 버는 시대다 보니까 이쪽으로 팁과 강의, 계정을 키우는 법을 알려주는 것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여서 돈을 버는 사람들이 성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굳이 안 좋게 볼 것도 아니죠. 요즘이 그런 시대이고 발빠르게 무자본으로 자신의 상품을 팔고 그걸로 성공하면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니까요.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이라면, 이들이 엄청나게 많아요. 정말로 관련 경력을 쌓은 건지, 실력이 있는 건지 입증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전자책이 다 비슷하긴 하지만 굳이 구매하지 않아도 노력으로 검색하고 찾아보고 하면 얼마든지 유튜브나 다른 콘텐츠들을 통해서 배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자신의 콘텐츠 생성 노하우를 알려주면서 자신의 디지털 상품을 홍보하는 유튜버
https://youtu.be/Kgx-NXMCdWQ?si=_hWgGQetp9_HS1jG
게다가 저들이 저 디지털 상품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는 것도 콘텐츠로 가끔 볼 수 있는데, 사실상 GPT로 좀 만져서 그럴 듯하게 만든 게 대부분일 거예요. 실제로, GPT와 Canva를 사용해서 저 digital product(이북)을 몇 초안에 만드는 법 등의 릴스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걸 보고 나면 돈버리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정말 뛰어난 인사이트를 가지신 분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저들이 계정을 키우는 방법으로 자신이 계정을 어떻게 키워서 얼마나 많이 벌었는지(수익인증) 포스팅을 아주 자주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을 훅하게 만들죠. 그리고 또다른 특징은 X에서 유독 잘 보이는 특징인데 명언, 조언형 포스팅을 엄청 자주해요. 그렇게 자주 자신을 드러내어 (showing up) 하여 노출하려는 노력들을 많이 합니다.
이것도 하나의 자기 사업이고, 퍼스널 브랜딩이고, 또 무언가를 수익화를 위해 열심히 하는 부분이니 뭐라 할 수는 없지만 점점 더 세상에 크리에이터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 같다는 생각과 국내에도 자신의 콘텐츠를 팔게 되는 스마트스토어가 곧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케팅(Marketing) > 노마드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업의 꽃, 제휴마케팅의 종류 알아보기 (a.k.a 알고보니 이게 다 제휴마케팅?) (0) | 2025.02.26 |
---|---|
온라인으로 판매할 수 있는 디지털 상품(digital products) 종류 소개 (1) | 2025.02.19 |
구글 블로그 블로그스팟(blogspot) 애드센스 승인 후기 및 운영 체감썰(2) (0) | 2025.01.05 |
구글 블로그 블로그스팟(blogspot) 애드센스 승인 후기 및 운영 체감썰(1) (1) | 2025.01.05 |
수익형 블로그 vs. 협찬형 블로그 특징 비교 및 내게 맞는 블로그 선택 가이드 (3) | 2025.01.05 |